영화검색
검색
 
괴물 일본 현지 관람기 (1부) 괴물
metafo 2006-09-05 오전 12:24:52 1278   [4]

 

교토 시조도리에 있는 Movix

규모는 그렇게 크지는 않은데 11개의 상영관이 있는 멀티 플렉스이다.

매표소...

괴무르 달라고 했다. 쥬산시 니쥬분....^^

자리는 중간 약간 우측

가격은..음...1,800엔 우리돈으로하면 대략 '만칠천원' 정도로 비싸다.

그래서 일본사람들은 극장을 별로 찾지 않는다. 헐리우드 블록 버스터,

지브리 애니 정도를 제외하고는 나중에 DVD로 대여해서 본다고...

머...국내 극장들이랑 별 다름없는 스넥코너.

토요일 낮임에도 불구하고 좌석은 앞자리 두줄 빼고는 대부분 꽉 매워졌다.

영화 끝나고 자막이 다 올라갈 때까지 기다리신 분들....

여기는 자막이 완전히 올라갈때까지 절대 불을 켜지 않는다.

영화의 여운을 자막과 음악을 통해 음미할 수 있어서 좋다.

크레딧이 다 올라갈때쯤...괴물이 울부짖는 소리가 들렸다. 내심 '좀 촌스럽다고 느낌...^^' 

상영관이다 4번 상영관에서 보았다.

포스터....괴무르, 한강의 괴물 이란 부제가 붙어있는 것이 이채롭다.

포스터 앞에서 기념촬영...D200이라 무거우셨을 텐데...촬영해주신분께 감사~~꾸벅~

 

2006년 9월 2일 일본 교토

이날은 앞으로 내가 잊지 못할 날들 중에 하루가 될 것이다.

 

일본에서 생활한 지 벌써 두달이 훌쩍 넘어가 버렸다.

많은 일들이 있었다. 마치 영화에서 처럼 그 짧은 60여일 시간에

말이 잘 안통하는 이곳에서 많은 일들이 나에게 일어났다.

이 이야기는 어쩌면 내 얘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몇자 끄적 보련다.

 

1부 : 철저하게 버림 받은 한 남자가 있다.

 

가족으로 부터, 옛 여자로 부터, 혹은 이 사회로 부터 철저하게 버림 받은 한 남자가 있다.

그냥 하루 하루를 살아간다. 이제는 모든 것이 무감각 해진듯...체념한 듯...

물 흘러 가듯이 그렇게 살아간다. (사는 건지, 살아 가는 것 조차도 구분이 안될 정도로...)

어느날 그에게 닥친 시련은 너무도 황당하다.

이상하게 생긴것이 불쑥 한강 위로 올라와, 닥치는 대로 그의 주위것을 빼앗아 가버린다.

그가 가장 사랑하는 현서(그나마 가족중에 아버지와 함께 그를 이해해 주는 한명)와 함께...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냥 한강 물에라도 뛰어들어 소리치는 것 밖에...더이상 그가 그녀를 위해 무슨 일을 할 수 있을 까?

유일한 하나는 그녀가 살아 있다고 믿어 주는 것 뿐...

그놈의 입으로 그녀가 들어가는 것을 눈으로 보았고, 그넘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 것을 봤는데...

그래도 그는 그녀가 살아 있다고 믿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녀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딸이기 때문이다.

 

이 황당한 괴물 영화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똑똑한 놈도, 마초 혹은 초능력을 갖은 영웅도, 미모의 소유자도, 멋진 공간도...

흔하게 많은 영화에서 설정되는... 뭔가 결말에 멋지게 등장 할 법한 언떤 코드도 전혀 없이

갑자기 어리숙한 한 가족의 일상에 괴물이라는 녀석이 할퀴고 지나가는 것으로

영화가 시작된다.

이영화가 갖는 힘은 이렇게 평범한 것에서 출발 한다고 본다.

다이 하드를 보면서, 내가 '존 메클레인' (부르스 윌리스)이라면...하는 상상은 조금 버겁지만...

괴물을 보면서 내가 '강두'라면 하는 상상은 이영화를 너무도 몰입하게 만들어 준다.

그냥 자신의 일상이 '몇분' 사이에 완전히 박살이 나버렸다.

그것도 두둔 크게뜨고 있는 자신의 눈앞에서 전혀 다른 세계(世界)로 추락해 버린 셈이다.

이 평범함을 영화가 끝날 때까지 계속 유지 할 수가 있을까?

나는 영화를 보면서 내심 걱정을 했다.

과연 누가 이 문제를 해결 해줄까?

그렇게 시작된 내 걱정은 온갖 잡스러운 상상으로 변질 되었다.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들이 모두 괴물로 변한 다던가...

알고보니 괴물이 한마리가 아니라, 수십 마리였다던가...

최후에는, 강두도 괴물로 변해 괴물을 무찌르게 되지는 않을까...

그리고 마지막 남은 강두괴물은 특공대(?)의 총질에 죽음을 맞아 최후의

울부짓음으로 영화 막을 내린다던가...하는 상상들...

어쩌면 진짜 많이 보아왔고, 수도 없이 나오는 괴물 스토리들인데..

그런 이야기들이 머리속에 그려졌다.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참..어이가 없지..봉준호가 누군데, 그따위 상상을 하다니...

잠시 미안함을 봉감독에게 바치는 묵념을...죄송...

 

이영화 괴물은 얼핏 '죠스'와 많이 닮아 있는 듯하다고 한다.

살인수(?)는 눈에 뻔히 보이고..비록 가족은 아니지만, 동료애로 똘똘 뭉친 사람들이

그것을 사냥하러 가는...그리고 희생도 좀 해 가면서, 최후에 승리하는 이야기.

하지만 내 관점에서는 전혀 다르다.

이영화는 승리자의 영화가 아니라, 희생자의 영화다.

승리자는 없다. 강두도, 삼촌도, 고모도 모두 그놈을 죽이기 위해 달려 들었지만

영화는 그들을 승리자로 만들지 않았다. 여전히 그들은 가족을 잃은 괴물의 희생자들일 뿐이다.

나는 이런 희상자의 이야기가 이 영화가 갖는 두번 째 힘이라고 본다.

힘이 없는 사람들 이기 때문에, 영화 가 끝나고 나서도 그들은 여전히 힘이 없이 살 것 같다.

어쩌면 그들이 죽을 때 까지, 한강을 노려 보며, 그때의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갈 지 모른다.

 

세번째로 이영화가 갖는 힘은 '패배자 정서'다.

아버지, 강두, 삼촌, 고모 모두 패배자이다.

아버지는 열심히 자식농사를 했지만..그냥 그저그런 생활을 하고 있고,

사냥 당하는 딸을 눈앞에서 그냥 지켜봐야했고,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동메달을 손에 쥐고, 만녁 백수, 술주정꾼 삼촌

사회의 시각으로 보면 패배자들이 영화를 이끌어 간다.

현서조차 웬지 '따' 분위기가 난다. (이건 그냥 내 상상이다.)

문제는 영화의 시각이 그들을 패배자에서 군림자로 레벨업 시키려 노력하지 않고

끝까지 일관성 있게 그들을 그대로 패배자로 남겨 두었다는 사실에

나는 무척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물론 첫 장면의 모습과는 다소 나른 눈빛(좀더 날카로워 졌다는...)...나름대로

성장(?)한 듯한 그의 모습을 보였지만..그래도 그 기본 뼈대는 그대로 이어져 갔다는 사실이다.

흔히 영화 가 끝날때쯤, 영웅을 위해 박수를 쳐주거나..뉴스에 나오는등...

그런것은 괴물 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 아닌가.....

마지막 엔딩씬의 눈내리는 평화로운 한강변의 모습이  더욱

가슴 아프게 한다.

비록 자다가도 '밥먹자' 소리에 벌떡 일어나는 녀석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이

따뜻하지만...그래도 그의 생활은 여전히 패배자정서 속에 녹아있는

버림받은 한 남자이며, 가족일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내 가슴을 더욱 아프게 했다.

 

영화를 관람하고 며칠이 지난 지금도

강두를 생각 할 때마나 자꾸 나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가족이란거, 일상 이란거, 생소함 이란거...그냥 하루하루 어떻게든 살아 가는 것...

예상하지 못했던 일들, 순식간에 뒤죽 박죽 되는 일상과 머리속의 생각들...

일본와서 느끼는 하루하루가 그냥 스크린에 그려지는 듯 하다.

물론, 내 현실에서 '괴물'과 같은 존재는 없다.

하지만 그에 버금하는 '무게'는 간혹 느껴진다.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1부는 내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를 했다. 2부에서는 좀더 영화 이갸기를 해볼 생각이다.

내일 업무 땡땡이 치고, 극장으로 다시 달려간다.

마치 괴물이 한강변에 성큰성큰 나타난 것처럼...극장에 성큼 성큼 들어가..

세번 째 괴물과의 조우를 시도할 것이다.

 

 

 




(총 0명 참여)
eye2k
괴물의 무한홍보전은 정말 괴물스럽다...

앞으로 한국영화는 홍보전이다.   
2006-09-05 02:23
1


공지 티켓나눔터 이용 중지 예정 안내! movist 14.06.05
공지 [중요] 모든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안내 movist 07.08.03
공지 영화예매권을 향한 무한 도전! 응모방식 및 당첨자 확인 movist 11.08.17
37849 [우리들의 ..] 두 배우의 눈물이 가슴까지 스며들었던 영화 sujyhome 06.09.05 1156 2
37848 [뚝방전설] 리얼이 아닌 코믹. woomai 06.09.05 957 3
37846 [우리들의 ..] 강동원과 이나영.. polo7907 06.09.05 1117 3
37845 [원탁의 천사] 생각보다 넘재밌었다.. moviepan 06.09.05 1167 3
37844 [조제, 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사랑 moviepan 06.09.05 1584 3
37843 [여고괴담 ..] 이번엔 계단이다 moviepan 06.09.05 1385 9
37842 [13구역] 리얼액션의 판타지를 채워준 영화.... ann33 06.09.05 776 2
37841 [천하장사 ..] 오동구의 마돈나 되기.. daisy6758 06.09.05 1041 7
37840 [각설탕] 남자배우 없는 로맨스물,... (1) daisy6758 06.09.05 932 3
37839 [울트라바이..] <울트라 바이올렛 : 순수 여성 액션 히로인의 새로운 장을 펼치다> ectosaceral 06.09.05 977 3
37838 [예의없는 ..] 음. daisy6758 06.09.05 1211 7
37837 [2월 29..] 특별한 날 2월 29일 하지만...영화는 진부하다는거~ tequila515 06.09.05 988 1
37836 [불편한 진실] 이제까지 알면서도 모른 척한, 내 양심에 비수가 되어 꽂힌 영화 aoi_yu 06.09.05 1280 6
37835 [연애, 그..] 가볍지않아~ (1) gigibe 06.09.05 1042 4
37834 [우리들의 ..] 너무 많이 울어버린 영화 (32) sky82a 06.09.05 8446 12
37833 [사이에서] <사이에서> 간단감상기 dsjehun 06.09.05 1228 3
37832 [센티넬] 증발된 서스펜스 kharismania 06.09.05 1190 10
37831 [천하장사 ..] boys never cry alex182 06.09.05 1023 6
37830 [괴물] <괴물> 이렇게 만들어도 대박났을까?? (5) yongma97 06.09.05 1426 5
현재 [괴물] 괴물 일본 현지 관람기 (1부) (1) metafo 06.09.05 1278 4
37828 [플라이트 ..] 아수라장의 지상,통제불능의 하늘,네번째 비행기 maymight 06.09.04 1156 2
37827 [해변의 여인] 해변의 여인 후기 !!!!!!!!!!!~~~ (1) ji0118 06.09.04 1662 4
37826 [천하장사 ..] 마돈나 언니를 존경한 어느 한 소년의 꿈! songcine 06.09.04 1078 3
37825 [천하장사 ..] 마돈나로 살고 싶은 소년의 뒤집기 한판!!! [피사월의 감상평] bloodapril 06.09.04 967 4
37824 [괴물] [스포일러] 봉준호 감독이 밝히는 '괴물' 논란의 실체 (2) bjmaximus 06.09.04 1261 3
37823 [예의없는 ..] 그래도 잼있네.. moviepan 06.09.04 1261 13
37822 [천하장사 ..] 너무 섹시한 남고생... (2) jihwan76 06.09.04 1192 4
37821 [맛있는 섹..] 섹스의 인생.. moviepan 06.09.04 4095 9
37820 [13구역] 피쿠르의 시원함... (1) jihwan76 06.09.04 1048 2
37819 [사랑하니까..] 사랑하니까,,, 괜찮지 않은거야... (1) danbee0205 06.09.04 1360 7
37818 [백만장자의..] 싱그런운 에메랄드 빛의 첫사랑.... 허나.. cadbear 06.09.04 1409 5
37817 [예의없는 ..] 정말 매운 고추는 물과 함께 먹기를.. (2) vacho 06.09.04 1452 8

이전으로이전으로1606 | 1607 | 1608 | 1609 | 1610 | 1611 | 1612 | 1613 | 1614 | 1615 | 1616 | 1617 | 1618 | 1619 | 1620다음으로 다음으로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