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란 제목의 영화를 선택하고 이런 생각을 했다. 이 영화는 또 얼마나 끔찍한 따분함으로 나를 옥죌 것인가. 프랑스 영화가 흔히 그렇듯이 이 영화도 특유의 까다로움과 난해함으로 나를 괴롭힐 게 뻔했다. 이번엔 당하지 않으리라 강한 결의를 되새기며 마음에 단단한 준비 태세를 갖추고서야 play 버튼을 눌렀다. 그런데, 맨 처음 흘러나오는 배경음악은 내 예상을 뒤엎는 것이었다. 나는 흥겨운 음악에 움찔하면서 내 염려가 지나친 것이 아니었나 생각했다. 그리고 조금도 권태로울 틈을 주지 않는 이 영화 권태에 조금씩 빠져 들어갔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40세의 철학과 교수 마르땅이다. 그는 끊임없이 "pourquoi?"를 외치며 사물의 진실과 숨겨진 본질에 다가가고 싶어하는 인물이다. 그런데 그가 만나게 되는 17살의 소녀 세실리아는 그런 그와는 전혀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 그녀는 모든 일에 깊이 생각하는 법이 없고 오직 현재에 존재하는 쾌락만을 좇는 즉물적 존재이다. 만약 마르땅이 그런 세실리아를 그저 하찮은 존재로 치부해 버렸다면 이 이야기는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지만, 그는 그녀에게 보통 이상의 관심을 보인다.
마르땅은 6개월 전 이혼한 후로 매우 권태로운 생활을 해오고 있었다. 그는 겉으로 보이는 요건들, 즉 육체적 건강과 직업 생활 등에서 아무 문제가 없었지만 분명 심적으로는 큰 고통을 겪고 있었다. 철학자로서 마르땅은 자신의 삶이 올바르고 신성한 것이라고 자부해왔을 테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즐겁고 행복한 것도 아니었다. 그런 그가 세실리아라는 인물을 만나게 된 것은 또다른 방식의 삶에 대한 접근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맨 처음 그는 이성으로써 그녀의 삶을 냉철히 판단하고 그것이 옳지 않은 것임을 그 자신과 그녀에게 인식시키고 싶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는 그것에 성공하지 못한다. 그는 쾌락이 헛된 것임을 이성적으로 잘 알고 있지만 실재적 쾌락에 비한 이제까지의 자신의 삶의 권태로움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녀 역시 그가 뭐라고 설득한다 한들 자신의 삶의 방식을 바꿀 의사가 없었다.
이런 와중에 세실리아에 대한 마르땅의 관심은 어느새 집착으로 바뀌고 그는 결국 자신의 삶의 기준을 모두 잃고 오직 그녀에게 권태로운 존재가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돈과 협박, 폭행 등 수단을 가리지 않고 그녀의 마음을 얻으려고 애쓰나 그녀는 좀처럼 그의 것이 되지 않는다. 결국 그는 젊은 남자와 여행을 가버린 세실리아를 그리며 반미치광이처럼 폭주운전을 하다가 죽을 고비를 넘기게 된다.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은 마르땅이 삶에 대한 의지를 다짐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뭔가 의아스러운 느낌도 들었지만 그럭저럭 무난한 결말이 아닌가 싶었다. 영화의 전반부에서 마르땅은 "승화를 모르는 인간은 날뛰는 성기와 콩알만한 뇌를 가진 미치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에 앞서 인간은 붉은 피가 흐르는 생명체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 이 영화의 주제라고도 볼 수 있을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