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20년 후에 다시 보면 더 좋을 영화 록키 발보아
lalf85 2007-02-25 오후 2:56:04 1858   [4]

<록키>시리즈를 다 보지 못했다. 그러면서도 이런 영화에 열광하는데, 다른 영웅들보다는 조금 더 현실적이랄까? 영웅주의 영화를 좋아하지만 <록키>에서만큼은 주인공이 패하는 것도 보여주고, 갑자기 어떤 특별한 일로 인해서 대단해졌다기 보다는 최고가 되기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주인공이 두려워하기도 하고 그런 면에서 왠지 다른 캐릭터들보다 공감이 가는 영화였다. "성룡" 영화처럼 주인공은 맞아도 맞아도 계속 일어서고, 그 경기 결과가 어떻게 되었든간에 최선을 다한다. 마지막에 페어플레이도 잊지 않는다. 그리고 약물복용 등 반칙플레이는 절대 하지 않는다. 이런 점이 어쩌면 당연하지만 요즘 사회가 그렇지 않아서 그런지 그러면서도 훌륭한 선수가 나온다는 것이 대단해 보인다.

<록키>시리즈에서 한 편이라도 보신 분은 이 영화 줄거리 솔직히 다 알 것이다. 단지 마지막 결과가 조금 다를뿐. 뭐 어떻게 보면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줄거리 보러 가는 것이 아니리라 믿는다. 80년대에 태어난 사람이지만 70년대에 <록키>를 느끼고 싶은 분들한테 꼭 추천해드리고 싶은 작품이다. 앞으로 20년 뒤에 이 영화를 다시 보면 좋을 듯 싶다. <록키5>에서도 나온 느낌이지만 그 때보다 훨씬 나이가 많아진 록키는 "퇴물" 이라는 소리를 듣는데 자기가 얼마나 건재한지를 보여주고자 링에 올라서고 싶은 것이 아니고 자기 몸 속에 있는 "야수"가 꿈틀대는 것을 표출하고 싶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하려고 할 뿐이었다.

이번에 감독이 하고자 하는 말은 아주 간단하다.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을 남에게 눈치 보지 말고 (록키처럼) 하자는 것이다. 록키와는 반대로 그의 아들은 아버지의 엄청난 그림자에 가려서 직장에서든 동료들끼리 식사자리건 불편해한다. 전 세계 챔피언의 자식이라는 자부심도 갖고 그래야 하는데 늘 위축대며 살다가 아버지가 다시 새로운 마음으로 자신이 하고픈 일(권투)을 한다는 소릴 듣고 의견 조율끝에 회사도 때려치우고 아버지 옆으로 돌아왔다. 옆에서 아버지가 하는 일을 보고 자신도 같이 나아가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현 상황이 주어졌는데 절대로 눈치 볼 거 없다. 하고자 하는 일을 끝까지 밀어붙이자!

"얼마나 센 펀치인지는 중요하지 않는다. 맞고 맞아도 다시 일어서는 게 중요하지" → 맞다. 이 대사가 영화 속에서 3번 정도 나오는데 너무 공감이 가는 대사가 아닌가 싶다. 영화속에서 록키가 몸소 실천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대 선수가 "글러브에 벽돌 넣은 거 같다" 는 가공할 펀치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펀치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잘 맞지도 않는다. 대신 다운을 더 많이 당해도 계속 꿋꿋하게 일어서는 모습에 같이 두 주먹 불끈 쥐고 록키를 응원하게 되지 않나 싶다. 아쉽게도 판정패를 했으면서도 사람들이 "록키" 를 외치는 이유는 그가 승자때문이 아니고, 패자에 대한 동정도 아닌 영웅의 컴백에 대한 환호가 아닐까? 중계석부터 록키가 그냥 진다느니 아유를 했지만 10라운드까지 대등하게 잘 싸워준 미국의 영웅(물론 <록키발보아>에선 미국식 영웅주의는 안 나와서 더 좋았다)을 좋아하는 것이다. 이전 <록키>를 안 본 사람도 충분히 볼 수 있을.. 그런 연결된 시리즈가 아닌 하나의 독립된 영화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다시 돌아온 "록키" 에 대해 박수를 보낸다.


(총 0명 참여)
rockyrocky
요즘 처럼 불법 다운로드가 판을 치는 판국에 동시대에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를 극장에서 체험하는 것은 행운이자 특별한 체험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2007-02-26 17:49
rockyrocky
음, 사실 "록키 발보아"는 록키 시리즈 다 보셔야 제대로 한 방인데...^^ 뭐 꼭 그럴 필요는 없지만, "아드리안"의 존재가 가지는 의미가 너무 크기 때문이죠. 록키에게는 권투로 맺어진 인연 말고는 "아드리안"이 유일한 친구이자,아내이자,어머니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지요. 그 유명한 장면, 링에서 싸움을 끝내고 피투성이가 된 얼굴로 "아드리안"을 찾는 록키의 모습... 정말 슬프고 감동적인 영화사의 명장면인데... 꼭 전편들 보시길 바랍니다.

언제나 록키를 링 곁에서 항상 지켜봐 주고, 경기가 끝나면 마치 어린아이가 달려가 엄마 품에 안기듯 아드리안은 록키에게 여신과 같은 존재이지요. 전편들 안 보신 분들은 그래서 좀 이번 편만 보시면 좀 갸우뚱~? 하실 겁니다.

록키 발보아 첫 장면에 나오는 어항속 거북이도 사실 "추억 효과"거든요. 정육점에서 고기 치는 장면도...

그리고 영화에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리틀 마리의 아들을 보면서 아마 록키는 사별한 친구 "아폴로"를 떠 올리지 않았을까...하는 궁금증이...

추천 날립니다.   
2007-02-26 17:40
1


공지 티켓나눔터 이용 중지 예정 안내! movist 14.06.05
공지 [중요] 모든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안내 movist 07.08.03
공지 영화예매권을 향한 무한 도전! 응모방식 및 당첨자 확인 movist 11.08.17
48964 [텍사스 전..] 진화한 그로테스크한 고어물 느낌, 퇴보한 서스펜스와 내용의 전개...의미없는 프리퀼영화 lang015 07.02.26 2074 2
48963 [메멘토] 두 번 보게 만드는 영화 enslave35 07.02.26 2303 5
48962 [바벨] 브래드 피트라는 배우에 대한 선입관을 가지고 극장을 찾지 마시길... 1723rock 07.02.26 1731 2
48961 [텍사스 전..] 프리퀄로서의 존재 가치를 잃어버린 건 아닌지... (1) ldk209 07.02.26 1963 12
48960 [바벨] 좀 아리송하고 아직도 약간... comlf 07.02.26 1597 4
48959 [리틀 칠드런] - My love is fever. ioojihee 07.02.26 1734 23
48958 [향수 : ..] 개봉이 기다려지는.. (2) corona1458 07.02.26 1362 5
48957 [드림걸즈] 분명 노래는 좋았다. 하지만 무언가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다. jy9983 07.02.26 1544 4
48956 [복면달호] 관객을~설렁설렁하게보는영화 (1) iisna 07.02.26 1776 8
48955 [훌라걸스] 재밌었지만.. 약간은 진부한.. cupidvirus 07.02.26 1453 5
48954 [그놈 목소리] 추천합니다. yyk0009 07.02.26 1514 7
48953 [드림걸즈] 흑진주 제니퍼 허드슨이 열창하는 <시카고> 변주곡 pys1718 07.02.26 1630 6
48952 [마강호텔] 그냥 그럭저럭... suwon6k 07.02.26 1804 6
48951 [훌라걸스] 재일교포 감독이 만든거라 기대했지만 기존 일본영화틀을 벗지못해~ pjs1969 07.02.25 1335 12
48950 [드림걸즈] [A]그저 즐기기만 하세요!! tmdgns1223 07.02.25 1351 7
48949 [태양의 노래] 꽤 볼만한 영화 enslave35 07.02.25 1407 2
48948 [허니와 클..] 허니와 클로버를 보고... justjpk 07.02.25 1520 5
48947 [텍사스 전..] 2번 보다간 내 얼굴이 구겨지겠다 lalf85 07.02.25 1959 3
48946 [미녀는 괴..]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은 부분 kdwkis 07.02.25 1742 4
48945 [후회하지 ..] 어색해도 괜찮아.. 사랑하니까.. chati 07.02.25 1725 4
48944 [페인티드 ..] 페인티드베일 ghtkdaksgod 07.02.25 1548 4
48943 [향수 : ..] 소설을 예술의 영상으로 만나다 chati 07.02.25 1464 7
48942 [스모킹 에..] 그녀석의 뛰는 심장을 갖고와 chati 07.02.25 1862 2
48941 [아드레날린..] 24시간 안에 죽는다 chati 07.02.25 2047 6
48940 [로맨틱 홀..] 크리스마스에 티비에서 엄청 틀어줄 영화 chati 07.02.25 1576 5
48939 [바벨] 관계에 대한 끈임없는 질문~~ chati 07.02.25 1724 3
48938 [드림걸즈] 드림걸즈에 빠져보세요.. chati 07.02.25 1064 6
48937 [어둠 속의..] 가슴 밑바닥에서부터 감동을 끌어올리는 영화 enslave35 07.02.25 2283 3
48936 [색즉시공] 그저 그랬다. enslave35 07.02.25 1424 6
48935 [알포인트] 이런 호러물 좋다 enslave35 07.02.25 1760 6
48934 [거미숲] 단순한 스릴러가 아니다 enslave35 07.02.25 1478 4
현재 [록키 발보아] 20년 후에 다시 보면 더 좋을 영화 (2) lalf85 07.02.25 1858 4

이전으로이전으로1351 | 1352 | 1353 | 1354 | 1355 | 1356 | 1357 | 1358 | 1359 | 1360 | 1361 | 1362 | 1363 | 1364 | 1365다음으로 다음으로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