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관한 섬세한 묘사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 나는 긴 시간이 필요한 사랑을 시작하고 있다!” 홍보카피의 문구 그대로 <8월의 크리스마스>는 8월에 시작해서 12 월에 끝나는 가슴시린 사랑이야기다. 죽음을 앞둔 30대 남자와 생기 넘치는 20살 여자의 만남이 전하는 온기는 헤어짐의 슬픔보다 먼저 와서 오래 남는다. <고스트 맘마> <접속> <편지>로 이어지는 멜로영화의 새로운 전성기는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 정점을 맞는다. 여기엔 억지로 눈물을 짜내기 위한 속임수가 없다. 일상의 순간순간이 과거와 현재의 접점으로 다가올 때 빛바랜 기억은 훈훈한 정서와 여운으로 차곡차곡 쌓이고 문득 옛날사진을 들춰보고 싶은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영화는 전적으로 주인공 정원(한석규)의 주관적 시점과 객관적 시점으로 이뤄져 있다. 변두리 사진관 사진사인 그는 자신의 죽음을 예감한다. 주차단속을 하는 여자 다림이 정원의 일상에 등장한 것도 그 무렵. 그러나 둘의 사랑은 “사랑해”라는 말을 나누거나 품에 안기는 식으로 전개되지 않는다. 정원을 “아저씨”라 부르는 다림은 그의 주변에 잠시 머물렀다 사라지곤 한다. 팔짱을 끼고 걷는 것만으로도 쑥스러운 시간, 정원은 삶을 마감할 준비를 시작한다. 한석규, 심은하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로 많이 알려지긴 했지만 <8월의 크리스마스>는 예쁜 그림엽서 같은 영화가 아니며 <편지>처럼 노골적으로 눈물샘을 자극하지도 않는다. 그렇다고 <접속>의 도회적이고 현대적인 정서에 호소하는 법도 없다. 군산의 한 창고를 개조해 만든 사진관은 낡고 허술해서 한 10년 전쯤으로 돌아간 느낌을 준다. 아이들이 뛰노는 초등학교나 툇마루가 있는 정원의 집 등 <8월의 크리스마스>의 시공간은 복고적이다. 이명세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공간이지만 인공적인 냄새를 내는 건 또 아니다. 죽음을 앞둔 30대 남자의 시야에 비친 일상의 공간, 그 속에 한 여자가 들어와 가끔씩 감정을 뒤흔들곤 하는 것이다.
조금 퇴색한 듯 보이는 <8월의 크리스마스>의 시공간은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다. “가수 김광석의 영정사진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는 허진호 감독의 말대로 영화전체는 정사진의 이미지를 일관되게 밀어 부친다. 카메라가 움직이는 순간은 극히 제한적이며 인물을 향해 깊이 들어가지도 않는다. 이런 객관적 거리는 총 110여개의 신에 컷수 250여개로 이뤄진 카메라의 지속시간에 의해 더 강화된다. 대화를 할 때 일반적 어법은 둘의 표정을 나눠서 잡는 것이지만 여기선 둘을 함께 잡는 것으로 대신한다. 가족들의 대화 장면에서도 그렇다. 오즈 야스즈로의 다다미 쇼트에 영향을 받은 듯 카메라는 툇마루 낮은 위치에서 등장인물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심지어 갑작스런 앰뷸런스 사이렌소리와 더불어 정원이 병원에 업혀 실려 가면서 영화의 종결부를 알리는 극적인 대목에서조차, 카메라는 클로즈업 대신 담 너머에서 지켜보며 감정을 절제한다. 물론 이런 관찰자 같은 시선 때문에 관객에게 불친절한 영화가 될 가능성도 있었다. 정원이 어떤 불치병에 걸렸는지, 그가 왜 옛 애인을 잊지 못하는지 하는 설명적인 대목들도 과감히 생략해버렸다. 예를 들어 정원이 불치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도입부의 연결은 텅 빈 운동장에서 초등학교 시절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를 회상한다거나 장례식에 갔다 와 지친 나머지 다림에게 퉁명스레 대한다거나 하는 식이다. 갑자기 쓰러져 병원에 실려 가고 치료를 받는 부분에서도 상황을 설명하는 장면들은 나오지 않는다. 장면만 정사진처럼 찍은 게 아니라 연결까지 사진첩처럼 이어나갔다.
만약 일상에 관한 섬세한 묘사가 없었다면 완전히 방향을 잃었을 테지만 허진호 감독은 여기서 신인감독이 흔히 범하는 오류를 피해간다. 정원이 아버지에게 비디오 켜는 법을 가르쳐주는 대목, 정원은 “전원을 켜고 이렇게 채널 4번을 누르시면 되요”라고 반복해서 얘기하지만 늙으신 아버지는 그걸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몇번씩 되풀이해 가르치던 정원은 벌컥 화를 내고 만다. 그리고 자신이 죽은 다음 혼자 남을 아버지를 위해 비디오 작동법, 현상기 작동법 같은 것을 메모로 남긴다. 울음소리를 막으려 이불을 뒤집어쓴 채 소리죽여 흐느끼는 아들의 방 밖에서 들어가려다 망설이는 아버지의 그림자를 잡은 장면의 울림도 그런 것. 남녀가 등장해 사랑을 나눌 때 흔히 볼 수 있는 떠들썩함 같은 것도 그래서 찾아볼 수 없다. 정원과 다림의 ‘좋았던 한때’는 낙엽 쌓인 밤길을 걷는 대목과 다림이 친구에게 정원이 들려준 얘기를 전할 때 나직하지만 여운이 긴 파장을 전한다. 말하자면 감독은 일상의 소중함을 잡아내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참으로 소중한 미덕이지만 장르영화의 유행에 밀려 자리를 내줬던 일상의 리얼리즘이 복권되는 순간이며 배창호나 이명세 이후로는 맥이 끊기다시피 한 멜로물의 감수성을 잇는 시도. 죽음이라는 소재의 무게를 버텨 낼 수 있던 것도 이런 시선 덕분일 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