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를 치며 웃으며 즐길 수 있는 영화를 찾는 다면 아마도 이 영화를 추천하고자 한다.
다시 한 번 장진 감독과 배우 정재영 두 사람이 다시 한 번 사고를 치고 말았다.
감독은 리희찬 이지만, 시나리오는 장진감독이 했다고 한다.
한국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장진 감독을 싫어하는 이들이 없을 것이다.
장진 감독의 웃음 코드는 독특하기로 유명하고 기발한 발상이 바로 장진 감독이다.
“바르게 살자” 영화를 보면 이 영화의 캐릭터를 과연 정재영 아니면 누가 할까?
시나리오 작업을 할 적에 장진 감독은 정재영을 그리며 작업을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원작은 따로 있다지만 이 영화의 어느 한 장면 없이 기발한 장면들로 만들어져 있고, 장진 감독의 재치가 숨겨져 있다.
우리들이 영화 예고나 영화 이야기를 해주는 프로그램에서 뭐 예고 봤으니 다 본거네, 라고 말한다면 아마도 영화를 모르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예고가 물론 이야기의 전체의 흐름인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불과하고 왜 이야기 전체를 광고하고 보여주면서 이야기하는 것일까?
그것은 본 사람들만이 이야기 할 수 있다.
약간의 억지 스토리 연결이 있지만, 보는 동안 자연스러운 스토리 연결과 흐름은 영화에 집중을 할 수 있게 한다.
영화의 캐릭터가 속 터지게 답답한 고지식하지만, 그로 인한 웃음은 최고라 할 수 있고, 우리가 보아오던 웃음의 코드와는 다르다.
주인공의 이름 ‘정도만’ 어느 정도만 하지, 라고 할 정도로 캐릭터의 이름도 웃긴다.
내용의 흐름에도 이제 그만 그 정도만 하면 됐을 텐데, 그것이 작은 곳에서도 웃음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장진 감독의 영화나 시나리오에서 볼 수 있는 장면은 독특한 코믹코드도 있지만, 빠질 수 없는 것이 사람의 심리를 연극적으로 표현 한다는 것이다.
박장대소는 없지만 정말 진정 가슴에서 울어나는 웃음을 볼 수 있다.
‘왕따’ 정도만(정재영)을 본다면 그동안의 스트레스는 정말 날려 버릴 수 있을 것이다.
지나친 웃음 코드보다는 작은 웃음의 코드가 사람을 흐뭇하고 즐겁게 해줄 것이다.
아주 작은 역이지만 흐름의 감초 역활을 해주는 무명의 조연들이 즐거움을 준다.
조연들의 얼굴을 보면 ‘아~저사람’ 아마도 가을에 이 영화를 선택한다면 쌀쌀해지는 가을 훈훈함을 줄 것이다.
한국코믹 영화의 재미를 모르는 사람에게도 권해도 정말 놓치지 않고 보길 잘햇다 할 정도의 영화다.
타 영화들과 달리 배우나 감독의 쇼프로 출연으로 홍보가 아닌 배우 정재영으로 승부를 한다.
긴말 필요 없이, 장진 감독의 시나리오 작업과 정재영의 연기만으로도 이 영화를 권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