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라이트와 키이라 나이틀리 조합은 언제나 근사하다... ★★★☆
가장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사랑 때문에 모든 걸 바친 여인을 그린 <안나 카레니나>는 그 동안 영화나 드라마로 수차례 선보인 만큼 익숙한 이야기라는 장점과 단점을 고스란히 노정한 작품이다. 익숙한 이야기에서 얻을 수 있는 안정감과 뻔한 이야기라는 지루함 사이에서의 줄타기. 조 라이트 감독은 이 줄타기를 연극무대를 활용한 파격적 형식으로 돌파하고 있으며, 결과물은 꽤 그럴싸하다.
생각해보면, 조 라이트 감독 앞에는 항상 데뷔작과 두 번째 작품인 <오만과 편견>, <어톤먼트>의 감독이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닌다. 그 다음에 연출한 <솔로이스트>와 <한나>는 수식어로 붙지 않는다. <솔로이스트>는 확실히 실망을 주긴 했지만, <한나>는 저평가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한나>에서 관객이 보고 싶었던 건 화끈하거나 독특한 액션이었지만, 조 라이트가 보여주고 싶었던 건 한 소녀의 감성이라는 괴리가 불러온 저평가. 어쨌거나 기존 작품을 통해 내 뇌리에 박힌 건 ‘조 라이트 감독은 현대물보다는 중세나 근과거 이야기를 잘 소화해낸다’는 점이었고, <안나 카레니나>는 이런 내 평가에 일종의 종지부를 찍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안나 카레니나>의 형식적 실험은 주로 초반부에 집중해서 시도된다. 연극 무대의 문을 따라 무한히 확장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은 느낌은 전혀 다르지만 데이빗 린치의 여러 영화, 특히 <인랜드 엠파이어>의 독특한 공간 개념을 떠올리게 하기도 한다. 어쨌거나 연극무대를 따라 무한히 확장된 공간은 짧은 시간 동안 각 인물에 대한 소개와 함께 공간에 대한 설명을 압축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후 안나 카레니나(키이라 나이틀리)와 브론스키(애론 존슨), 알렉세이(주드 로) 그리고 레빈(돔날 글리슨)과 키티(알리시아 비칸데르)를 아우르는 인물들의 심리묘사와 이야기에 좀 더 공을 들일 수 있었던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또 하나의 형식적 실험은 거의 뮤지컬에 가까운 장면 연출이다. 초반 장면뿐만이 아니라 영화는 시시때때로 연극무대에서 펼쳐지는 뮤지컬 장면을 보는 듯한 환상에 빠져들게 한다. 이 중 가장 압권은 안나가 러시아에 도착에 처음 참석한 무도회 장면이다. 암전된 가운데 안나와 브론스키가 펼쳐는 둘만의 춤 장면과 이를 바라보는 키티의 눈빛은 세 사람의 심리를 춤만으로도, 아무 설명 없이도 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음을 보여준 아주 인상적인 장면이었다. 음악을 맡은 다리오 마레아넬리는 곳곳에서 재치 있는 음악적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런 시도로 인해 영화는 뮤지컬적 느낌을 더욱 진하게 내뿜고 있다. <어톤먼트>에서 타자기 소리를 음악의 한 부분으로 장식했다면 <안나 카레니나>에서는 결재도장 찍는 소리를 음악으로 활용해 또 하나의 인상적인 장면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영화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요소는 단연코 배우(들)이다. 처음 키이라 나이틀리가 안나 카레니나를 맡는다고 할 때 누구라도 고개를 갸웃했을 것이다. 이건 일종의 선입견인데, 그 동안 영화와 드라마에서 안나 카레니나를 맡았던 배우들을 떠올려 보면, 비비안 리, 그레타 가르보, 소피 마르소, 재클린 비셋 등 전형적인 미인이거나 또는 글래머 배우들이곤 했다. 사실 키이라 나이틀리는 이들과는 거의 상극인 배우로서 대게 보이시한 중성적 매력을 뽐내왔고, 주로 그런 역할들을 맡아왔다. 그런데 상대 남자가 처음 본 순간 사랑에 빠질 수 있는 매력이 있느냐의 문제라고 봤을 때, 영화 속 키이라 나이틀리는 자신이 정답이라는 점을 확실히 보여준다.
항상 조 라이트는 영화에서 키이라 나이틀리를 그 누구보다 매력적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해왔다. 어쩌면 키이라 나이틀리야말로 조 라이트 감독에 대한 평가, 즉 현대물이 아닌 중세나 근과거 이야기에 적격이라는 평가를 바꿔 줄 유일한 배우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런 이유로 이 둘이 현대물에서 결합한 모습을 한 번 보고 싶다.
※ 영화의 흐름에 비해 결말은 매우 아쉽다. 뭔가 문을 갑자기 닫아 버린 듯한 느낌.
※ 키티 역을 맡은 알리시아 비칸데르. 영화 보는 내내 어디서 봤나 머리를 굴려 봐도 떠오르지 않아 답답했는데, 영화를 본 후 찾아보니 검색해보니 바로 <로얄 어패어>의 여주인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