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 국보제1호 숭례문 화재로 무너지다 (영화제작?)
cozcoz20 2008-02-12 오후 2:28:16 1225226   [30]
요즘 핫이슈가 되고있는 숭례문..
 
 
숭례문의 변천사과정을 끝은 좋지않지만
 
다시 새로짓는 장면까지 더불어
 
후년에 영화로 제작되어진다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국보1호 숭례문이 화재로인해 무너지다.
 
늙은노인의 방화사건으로 밝혀진 국보1호 숭례문
 
 ( 40년전 숭례문...........)
 
( 50년전 한국 전쟁의 포화속에서도 살아 남은 숭례문!!)
 
( 80년전 일제 강점기 시절 숭례문....)
 
( 100년전 한일합방 직전..대한제국 시절 숭례문...)
 
( 120년전 구한말 일본인이 찍은 숭례문.)
 
( 이명박 대통령후보)
 
 
 
숭례문 ‘610년 역사’ 5시간 만에 한줌 잿더미로

1398년 조선의 수도 한양의 도성 정문으로 창건된 이래 610년 동안 이 땅의 한복판을 지켜온 국보 1호 숭례문.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 등 그 숱한 영욕의 역사 속에서도 큰 피해 없이 원래 모습을 온전히 지켜왔던 숭례문이었지만 이번 화재는 불과 5시간 만에 숭례문을 폐허로 만들어 버렸다.
 
 
(뉴스기사)

조선시대 숭례문의 대표적인 수난은 역시 임진왜란이었다.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은 숭례문을 통해 한양으로 입성했다. 조선을 침략한 왜군에게 숭례문을 열어 주었다는 것은 잊을 수 없는 치욕이었지만 별다른 피해는 보지 않았다. 또한 병자호란 당시에도 특별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일제 침략이 가속화하고 국권을 상실해 가던 20세기, 숭례문의 수난은 계속됐다. 1907년 일본 왕자 요시히토(嘉仁)는 서울을 방문해 “일본의 왕자가 약소국 조선의 도성 정문으로 들어가는 것은 치욕”이라면서 숭례문 좌우의 성벽을 헐어내고 도성 안으로 들어갔다. 그렇게 해서 숭례문 좌우 성벽은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1950년 6·25전쟁도 절박한 위협이었다. 당시 숭례문은 전쟁의 와중에서 총탄을 맞기도 했으나 폭격이나 화재와 같은 큰 피해는 모면할 수 있었다. 광화문이 폭격으로 파괴되는 상황이었기에 숭례문의 ‘생존’은 더더욱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2002년엔 숭례문의 석재가 떨어져 나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석축 가운데에 위치한 홍예문(虹霓門·무지개 모양의 문) 상단부의 석재 일부가 오랜 세월과 풍화를 견디지 못하고 탈락한 것이다. 하지만 초강력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이용해 떨어진 석재를 원위치에 다시 붙여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게 되었다. 숭례문은 이렇게 온갖 수난을 겪어왔다. 그러나 숱한 수난 속에서도 숭례문은 창건 당시의 원형을 유지해 왔다.

그 숭례문의 역사가 순식간에 불에 타 사라져 버렸다. 국보 1호가 불타는 21세기 대한민국. 숭례문 610년 역사에 있어 최대의 치욕이 아닐 수 없다.
 
(총 7명 참여)
hoya2167
슬프고 안타깝고 ...그리고 애통하고요     
2010-07-28 08:49
wizardzeen

 안타깝네요
    
2010-06-03 10:49
sookwak0710
안타깝네요     
2010-04-23 09:31
wizardzean
안타깝네요     
2010-03-25 11:07
sookwak0710
아.. 정말 안타까워요ㅠ^ㅠ     
2010-02-03 16:29
kiwy104
안타깝네요     
2010-02-01 10:17
peacheej
슬퍼요..     
2009-12-15 11:36
k3056541
슬프고 안타깝고 ...그리고 애통하고요     
2009-08-12 08:35
ssoo
슬프죠..ㅠ     
2009-06-14 21:30
isj99058
슬퍼요..     
2009-06-03 23:32
1


공지 티켓나눔터 이용 중지 예정 안내! movist 14.06.05
공지 [중요] 모든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안내 movist 07.08.03
공지 영화예매권을 향한 무한 도전! 응모방식 및 당첨자 확인 movist 11.08.17
8737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기어이 1위 달성~~ (4) yourwood 14.12.12 1057 4
8736 4대 배급사의 하반기 블록버스터 전쟁 돌입! 연말에 웃을 승자는?! shetra 14.12.09 1864 2
8735 오마이뉴스 '<유신의 추억> 걸었더니 지원 중단? 우연일까?' datajournal 14.12.09 2358 4
8734 스크린 독과점과 독립영화 지원을 위한 영비법 개정안의 현실적 한계 pinkkaii 14.12.09 2204 1
8732 예고편에 속은자의 후회 - 엑소더스편 (2) kjpaqloy3 14.12.03 842 1
8731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의 돌풍 들으셨나요? (4) yourwood 14.12.03 1204 2
8730 한국 영화사도 괜찮을까요? fornnest 14.12.03 804 0
8729 헝거게임 도대체 왜 국내는 안될까요? (5) bestktz 14.11.28 2329 3
8726 스크린커터 이젠 그만 (1) dong7 14.11.24 931 1
8725 인터스텔라 왜 유독 우리나라만 강세일까요? (3) papakgb 14.11.24 1810 2
8723 올 해 최고의 영화 인터스텔라 관람 전과 후 ( 진심어린 후기 ) (1) sqptjxo 14.11.13 1411 2
8721 한국영화vs외국영화 (2) helenhn 14.11.11 1293 2
8719 배급사 NEW. 올해 성적이 영 신통찮네요 ㅜ.ㅜ (1) yaronohaha 14.11.10 941 1
8718 과연 댓글알바가 있는 걸까요?? (3) helenhn 14.11.04 1078 1
8717 대종상 영화제 또 다시 논란. 무슨 연례행사인가요? (2) shetra 14.11.03 897 0
8716 송일국 9년만에 스크린 데뷔. 흥행돌풍 예상 (1) basqkt7 14.10.31 790 0
8715 신해철 씨의 한 편의 영화 같은 영화 음악들... (2) joynwe 14.10.30 2461 4
8714 장진 감독, 전성기가 그립네요... (2) makemix 14.10.28 2288 3
8713 마왕 신해철 별세...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cp4saxp 14.10.28 1178 1
8711 소리굽쇠 영화는 잊어선 안되는 우리역사 dong7 14.10.26 792 1
8709 영화 다이빙벨 개봉논란 (1) leeuj22 14.10.20 1054 2
8708 판교 공연장 붕괴 사고 누구 책임일까요? (1) cp4saxp 14.10.19 910 2
8707 영화관 외부 음식물 반입 되는거 아셨습니까? (3) cp4saxp 14.10.12 586334 3
8706 영화관 광고시간 개선은 안되고 말뿐인 기사거리~ (3) huyongman 14.10.09 1016 2
8704 왕의 얼굴 VS 관상. 표절논란의 진실은? hychoi88 14.10.05 1097 3
8703 크리스 에반스 로맨틱 코미디 영화 시사회 finest 14.10.05 872 0
8702 다이빙벨 상영 중단을 둘러싼 부산시의 압력논란에 대해 (1) makemix 14.09.30 1659 3
8701 에프엑스 설리의 영화 <패션왕> 출연에 대하여 helenhn 14.09.30 895 1
8700 한국에서 특정 장르를 대표할수있는 배우 ? (2) seo960904 14.09.27 1356 3
8699 3D 영화 관심, 확 떨어지지 않았나요? (3) ddreag 14.09.22 2859 3
8698 믿고 보는 천만배우 누가 있을까요? (2) jsqsk13qi 14.09.20 2283 4
8697 김부선 난방비 비리사건이 우리 사회에게 말하려는 것은? spkq64kp 14.09.18 2593 4
8696 비긴어게인의 예매율 1위, 200만 돌파가 시사하는 것. hychoi88 14.09.18 2695 1
8694 4DX 가격과 기능 만족하십니까? (5) jsqsk13qi 14.09.14 1460 4
8693 이병헌 논란으로 살펴본 스타의 사생활 문제 (1) yaronohaha 14.09.14 1356 3
8692 공개된 여름 대작 4파전의 결과. 요동치는 4대 배급사의 입지. shetra 14.09.01 1877 3
8690 극장 민폐유형, 대처법이 있나요? (1) jeon810 14.08.26 1272 2
8689 흥행도 완성도도 최악인 한국 공포영화. 돌파구는 없을까. (1) yaronohaha 14.08.22 1878 1
8688 명량의 흥행성적, 한산! 뛰어넘을 수 있을까? anqlfjqm 14.08.20 837 1
8687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하는 연예인 일일단식? 단식 or 장난일까? kiori5hd 14.08.15 1765 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다음으로 다음으로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