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카라바조의 그림자(2022, Caravaggio's Shadow)
배급사 : (주)영화사 진진
수입사 : (주)영화사 진진 /

카라바조의 그림자 : 메인 예고편




“그는 가는 곳마다 걸작을 남겼다” - The Guardian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와 함께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3대 화가!
하나로 정의 내릴 수 없는 시대의 선구자 ‘카라바조’를 조명하다!


‘카라바조’로 잘 알려진 미켈란젤로 메리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탈리아 대표 화가다. 스케치 없이 작품을 완성하는 등 특출난 재능으로 천재성을 인정받은 그는 후대 화가 리베라, 렘브란트, 모네 등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그는 가는 곳마다 걸작을 남겼다” (The Guardian), “논쟁적이고 대중적이며 후세대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화가” (내셔널 갤러리), “유럽 미술에서 가장 혁명적인 화가 중 하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의 평을 이끌어내며, 바로크 미술의 시작이자 오늘날 서양 미술사에 획기적인 반향을 일으킨 화가로 꼽힌다. <카라바조의 그림자>는 ‘카라바조’의 유별한 생애와 작품 세계를 바탕으로 영화적 서사를 구축, 그의 다채로운 면모를 드러내며 거장 ‘카라바조’에 대한 새로운 인상을 선사한다.

영화는 ‘카라바조’와 당대 로마 교회의 대립에 주목한다. 완벽하고 이상적인 모습만을 캔버스에 담고자 했던 기존 화풍과 달리, ‘카라바조’는 교회의 권위에서 벗어나 빈민과 함께하려던 가톨릭개혁 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평범한 사람들을 모델로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그리고자 했다. 그들과 함께 어울리며 그 속에서 치열한 아름다움과 빛을 발견한 그는 이러한 신념을 종교화에도 적용하며 수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카라바조의 그림자>는 이 중 그의 대표작 [성모의 죽음]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재구성, 숱한 갈등 이면에 자리한 ‘카라바조’의 인간적인 면모를 포착한다. 매춘부 ‘안나’의 죽음을 깊이 애도하며 그의 마지막 순간을 그림으로 남긴 ‘카라바조’의 모습은 고통으로 얼룩진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모두를 동등한 존재로 대하고자 했던 그의 남다른 작품관을 환기한다. 나아가 이는 교리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문제적 인물로 치부되었던 그의 과거를 재고하게 만듦으로써, 교황청의 맹렬한 비판에도 자신만의 길을 개척했던 예술가 ‘카라바조’의 삶을 새로운 시선에서 마주 보게 한다.

또한 <카라바조의 그림자>는 살해 혐의로 도피 생활을 시작한 ‘카라바조’의 시간을 따라가는 한편, ‘그림자’라는 허구 인물을 더해 그의 삶을 보다 드라마틱하게 구현한다. ‘그림자’는 교황청이 ‘카라바조’의 사면 자격을 조사하기 위해 비밀리에 투입한 인물로, 든든한 후원자였던 ‘콜론나 후작 부인’, ‘델 몬테 추기경’을 비롯 ‘카라바조’의 주변 인물들을 끊임없이 추궁하며 몰입감을 더한다. 특히 몰타로 도망친 ‘카라바조’와 대면해 그를 날카로이 다그치는 ‘그림자’의 모습은 ‘카라바조’를 압박했던 시대적 분위기를 드러내는 동시에, 역으로 그림을 향한 ‘카라바조’의 순수한 열정을 강조한다. 더불어, 영화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카라바조’의 죽음에 ‘그림자’를 엮어 서스펜스적 상상력을 가미,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극으로 관객들을 매료시킬 예정이다.

[메두사], [승리하는 아모르], [성 마태오의 소명], [세례 요한의 참수]…
바로크 미술의 거장 ‘카라바조’의 마스터피스를 스크린 위로 구현하다!
강렬한 빛과 어둠으로 빚어낸 그림보다 더 그림 같은 파인아트 시네마!


<카라바조의 그림자>는 [메두사], [승리하는 아모르], [성 마태오의 소명], [세례 요한의 참수],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등 오랜 시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 온 ‘카라바조’의 대표작을 스크린 위로 생생히 담아낸다. 그중 도피처 몰타에서 완성한 제단화 [세례 요한의 참수]는 작업에 들어가기 앞서 모델들을 지휘하며 구도를 정비하는 ‘카라바조’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뿐만 아니라, 영화는 요한의 역을 맡은 모델에게 자신을 투영하는 ‘카라바조’를 포착, 지난 과오로 인한 두려움에 사로잡힌 그의 내면을 전달하며 작품 감상의 폭을 확장한다. ‘카라바조’의 또 다른 대표작인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의 탄생 과정 또한 영화적으로 담겨 몰입을 더한다. ‘카라바조’가 골리앗의 얼굴을 표현하기 위해 수차례 거울을 들여다보며 고뇌하는 순간부터 완성된 작품을 마주하기까지의 과정은 인간의 괴로움을 캔버스 위로 옮기고자 했던 그의 작가적 태도를 은유한다. 이처럼 <카라바조의 그림자>는 작품을 피상적으로 등장시키는 데에 그치지 않고 각 작품에 비하인드를 더하며 ‘카라바조’의 신념을 서사적으로 구현, 영화와 미술을 아우르는 강렬한 파인아트 시네마를 예고한다.

더불어, 미켈레 플레치도 감독은 ‘카라바조’가 창시한 테네브리즘 화법을 <카라바조 그림자> 연출 방식으로 선택, 영화 자체를 ‘카라바조’가 그린 한 폭의 회화처럼 그려내며 신선한 느낌을 전한다. 테네브리즘은 강한 빛과 어둠을 극명하게 대비시켜 작품에 입체감을 더하는 미술 기법으로, ‘카라바조’의 작품 [성 마태오의 소명]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미술사가 앤드루 그레이엄 딕슨은 이를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 온 ‘카라바조’를 두고 “그는 빛과 어둠의 극단적인 대조를 사용해 유럽 미술을 결정적으로 바꿨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영화는 이 같은 테네브리즘 화법을 ‘카라바조’의 화실에 적용해 신성한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시선을 집중시킨다. ‘카라바조’가 ‘콜론나 후작 부인’에게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의 회심]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순간 어두컴컴한 화실에 유일하게 드리우는 빛은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작품에 도달, 쉬이 범할 수 없는 숭고한 인상을 자아내며 보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카라바조’가 화실에서 조수와 물감을 만들고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작업을 준비할 때 역시 밝은 빛줄기는 ‘카라바조’의 동선을 따라 비추며 그의 예술가적 면모를 부각한다. 이처럼 극적인 효과를 꾀어내 각 장면에 내재한 의의를 강조하는 연출은 나아가 ‘카라바조’의 작품을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전하며 세기의 아이콘을 그린 아트 영화로의 정수를 선보인다.

<존 윅> 시리즈 빌런과 세계 3대 영화제 석권 배우가 한자리에!
유수 평단 & 할리우드가 사랑한 명배우들이 선보이는 화려한 연기 앙상블!
오늘날의 록스타를 닮은 새로운 ‘카라바조’를 완성하다!


<카라바조의 그림자>의 주인공인 ‘카라바조’는 베니스국제영화제 2관왕이자 <존 윅 - 리로드>(2017),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2023) 등으로 탄탄한 연기력을 입증하며 전 세계에 이름을 알린 배우 리카르도 스카마르치오가 분했다. 실제 ‘카라바조’를 떠오르게 할 만큼 싱크로율 높은 비주얼을 선보인 그는 “미켈레 플라치도 감독과 나는 ‘카라바조’를 록스타와 같은 인물로 여겼다. 카리스마 넘치고, 미움과 사랑도 동시에 받았던 존재이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하며 그간 ‘카라바조’를 묘사해 온 단순화된 시선으로부터 벗어나 다각도에서 인물을 표현하고자 했음을 고백, 그만의 해석으로 탄생한 ‘카라바조’에 대한 기대를 불러 모은다. 프랑스 국민 배우 루이 가렐은 ‘그림자’로 열연한다. <평범한 연인들>(2005)로 제31회 세자르영화제 신인상을 거머쥐었던 그는 이후 <몽상가들>(2005), <생 로랑>(2015), <작은 아씨들>(2020) 등을 통해 한계 없는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 왔다. <카라바조의 그림자>에서는 교황청의 명에 따라 비밀리에 ‘카라바조’의 뒤를 쫓는 ‘그림자’로 분하여 영화 전반에 긴장감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세계 3대 영화제 연기상을 석권한 프랑스 명품 배우 이자벨 위페르는 세상이 품지 못한 천재 ‘카라바조’를 끝까지 후원한 ‘콜론나 후작 부인’ 역을 맡았다. 그는 베를린국제영화제가 사랑한 홍상수 감독의 작품들을 비롯해, <다가오는 것들>(2016), <엘르>(2017), <해피엔드>(2019) 등 다채로운 필모그래피 속에서 묵직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영화 팬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왔다. 인터뷰를 통해 “영화는 인물의 숨겨져 있는 감정과 행동을 탐구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다”라고 소신을 밝혔던 이자벨 위페르 배우는 인간의 고통을 진정으로 직시했던 ‘카라바조’를 지지하고 믿어온 ‘콜론나 후작 부인’의 내면을 사실적으로 묘사, 서사에 대한 이입을 높일 전망이다.

미켈레 플라치도 감독 또한 연출을 넘어 연기까지 겸하며 자신의 시선으로 재구성한 역동적인 ‘카라바조’ 이야기를 펼친다. 쥬세페 토르나토레 감독의 <언노운 우먼>(2009)의 주연을 맡는 등 이탈리아의 국민 배우로도 인정받는 그는 <카라바조의 그림자>에서 ‘델 몬테 추기경’ 역을 톡톡히 소화, 여태껏 보여온 모습과는 또 다른 얼굴로 완벽한 연기 변신을 감행한다. 또한 감독으로서 그는 “‘카라바조’라는 예술가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싶었다. ‘카라바조’의 악덕과 미덕을 가감 없이 담아내며, 내외적 갈등에 수없이 휩싸인 그의 긴박한 궤적을 따라 이야기를 전개하고자 했다”라고 기획 의도를 고백, ‘카라바조’를 심층적으로 파헤친 작품의 탄생을 알리며 호기심을 증폭시켰다.

특급 조합으로 빛나는 <카라바조의 그림자>는 제68회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2관왕(헤어 디자인상, 젊은 다비드상) 및 제63회 이탈리아 골든글로브 촬영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입증하기도 했다.



(총 0명 참여)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