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우리가 모르는 어떤 갈등의 지점들 (오락성 5 작품성 7)
Jam Docu 강정 |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 최승우 이메일

<Jam Docu 강정>은 ‘스타트 라인’을 먼저 의식하고 보면 좋을 법한 영화다. 치우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엿보이지만, 어쩔 수 없이 한쪽의 입장으로 기울어진 채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한정된 시간과 자본, 접근성 등의 한계 때문일 수도 있겠다. 어쨌든 8명의 독립영화감독이 100일 동안 즉흥적으로 잼(Jam)을 하듯 옴니버스 형식으로 만든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해군기지건설을 반대하고, 제주 서남단에 위치한 작은 마을의 존재이유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전제로 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am Docu 강정>이 강경한 정치적 노선이나 메시지를 담고 있지는 않다.

이 영화는 어디까지나 ‘기록영화’의 입장에 충실하다. 다만 <Jam Docu 강정>이 단순히 ‘데이터’가 아닌 ‘갈등의 지점’까지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거리 하나를 두고 마주보고 있는 두 슈퍼마켓의 이야기는 그런 지점의 기록이 얼마나 중요하고 백 마디 말보다 가치가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핏줄 이상의 유대감으로 뭉쳐있던 마을사람들은 해군기지 찬성과 반대로 편이 갈리고, 슈퍼마켓조차 각자 다른 곳으로 다니면서 인사도 하지 않는다. 마을사람들은 지친 표정으로 “어느 쪽이든 빨리 끝나서 예전처럼 돌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해군기지를 찬성하는 친형과 몇 년 동안이나 말을 섞지 않았다는 강희웅 씨의 사연, 정작 제주시가 강정마을 문제를 철저하게 외면했다는 이야기 등은 그 갈등의 지점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부분이다.

영화는 해군기지와 강정마을 문제를 찬성과 반대라는 단순한 이분법으로만 취급해온 제3자들의 논리를 뿌리부터 흔들어놓는다. 강희웅 씨는 ‘뒷북치는’ 시민단체와 강정마을 문제를 ‘소비하는’ 미디어를 향해 뼈 있는 한마디를 던진다. “많은 분들이 와서 도와주시는 건 고맙습니다만, 막을 수 있을 때에는 안 왔잖아요. 왜 지금에야 오셨습니까?” 아무리 선의에서 나온 건강한 관심이라 해도 당사자들의 삶을 뼛속까지 이해하지 못하는 이상, 탁상공론과 겉핥기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펑크밴드 ‘밤섬해적단’은 말한다. “막상 강정에 와보니 생각하게 된다. 우리가 과연 누굴 도울 수 있을까,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이 말은 영화의 핵심을 찌르는 동시에, 현장에서 카메라를 들이댄 감독들이 느꼈을 혼란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대사다.

<Jam Docu 강정>은 홍형숙 감독의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스타트 지점으로 돌아간다. 두 친구를 중심으로 서울 마포 성미산마을과 제주 강정마을의 연대를 담은 이 이야기는, 영화적 기교나 일관성에 구애받지 않는 이 영화의 엔딩 역할을 한다. 다만 마지막 이야기는 강정마을 지지에 대한 지나치게 감정적인 호소라는 인상을 준다. 물론 감독 자신의 지극히 개인적인 사연에서 출발한 작품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자연스러울지 모르나, 스타트 지점을 과하게 강조한 것은 아닌가 하는 꺼림칙한 느낌이 드는 건 사실이다. 판단은 관객들의 몫이다.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 글_최승우 월간 PAPER 기자(무비스트)     




-당장 비행기 타고 제주도로 날아가고 싶게 만드는 풍경들.
-강정마을 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것을 조금 더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옴니버스인 만큼, 영화적 완성도와 재미를 기대하긴 힘들다.
0 )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