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결혼, 운명이 아닌 선택입니다 (오락성 7 작품성 7)
두 개의 선 | 2012년 2월 8일 수요일 | 정시우 기자 이메일

임신을 신의 축복이라고(만) 보는 시각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인간의 욕망 표출이 보다 자유로워진 현대사회에서, 임신은 섹스에 따라붙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일 수 있다. 그래서 <4개월 3주 그리고 2일>의 여대생은 불법 낙태 시술대 위에 몸을 눕혔고, <주노>의 어린 소녀는 태어날 아이를 대신 키워줄 양부모를 찾아야 했다. 임신 테스터기를 볼 때마다 “이번만은 아니게 해주세요, 제발!”을 외치는 <두 개의 선>의 이 여자, 지민의 마음을 그래서 충분히 이해가 된다. <두 개의 선>은 6년째 동거 중인 커플이 아이를 갖게 되면서 겪는 현실적인 문제를 그린 다큐멘터리다. 오해하지 말 것은 이 영화가 ‘낙태 찬반’을 논하는 다큐는 아니라는 점이다. 영화가 ‘두 개의 선’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 건, 보편과 상식이라는 이름하에 정당화되는 우리 사회의 또 다른 편견들이다.

다큐멘터리 감독 지민과 학원 강사 철은 ‘결혼이 사랑의 결실’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결혼은 운명이 아닌, 인생의 무수히 많은 선택지 중 하나일 뿐이다. 결혼을 종용하는 주위의 시선에도 이들 커플이 6년째 동거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들은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편입하는 것도, ‘너와 나’의 관계가 ‘너의 가족과 나의 가족’이란 복잡한 거미줄로 확장되는 것도 싫다. 그들은 결혼이라는 제도에서 자유롭고 싶다. 그리고 그것에서 자유롭게 살아왔다. 임신 테스터기에 두 개의 선이 그어지기 전까지는 말이다.

의도하지 않았던 임신은 그들을 냉혹한 현실로 끌어내린다. 동시에 그들의 가치관은 끊임없이 시험에 들기 시작한다. ‘아이를 낳으냐 마느냐’, ‘결혼을 하느냐 마느냐’ 등의 고민 앞에 그들은 잠시 햄릿형 인간으로 변모한다.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만 낳겠다’고 결심한 후에도 또 다른 고민이 고개를 치켜든다. 이번에는 아이에게 엄마의 성을 주려는 시도가 난관에 부딪친다. 부계 혈통에 대한 압박이 심한 나라에서 아이에게 엄마의 성을 준다는 건, 주홍글씨의 다름 아님을 이들은 모르지 않기 때문이다. 편견에 맞서려는 그들의 의지가, 아이의 삶에 장애를 주지 않을까 두렵고 무섭다. “그냥 아빠의 성을 따라?”, “결혼을 해 버려?” 자꾸 약해지는 스스로를 발견할 때마다, 괜히 비겁해 지는 것 같아 부끄럽기도 하다.

선천성 이상을 가진 아이가 태어나면서 그들은 최대 위기를 맞는다. 복지혜택에 있어서도 미혼모의 아이는 차별받는 게 한국사회다. 아이의 수술비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혼인을 증명할 ‘종이 한 장’이 필요했다. 출생신고 마지막 날, 그들은 결국 혼인신고 종이에 도장을 찍는다. “결국 이렇게 될 걸(결혼 할 걸), 그동안 왜 그렇게 고민 했어?”라는 주위의 말에 묘한 미소를 짓는 지민과 철의 얼굴이 깊은 잔상을 남긴다.

<두 개의 선>의 미덕은 두 남녀가 결혼이라는 제도를 어떻게 삶 안으로 받아들일까를 끊임없이 고민하는 동시에, 스스로의 한계에 대해서도 인정한다는 점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최종 선택에 변명만 늘어놓지는 않는다. 지민은 “나는 혼인신고를 통해 내가 가진 불안함을 떨쳐낼 수 있을 거란 생각도 들었다”고 솔직히 털어놓기도 한다. 그러한 반성에서 그들의 제도에 대한 도전이 아직 현재진행형이리란 희망을 품게 된다. 2011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2011 ‘올해의 여성영화인상(다큐멘터리부문)’ 수상작이다.

2012년 2월 8일 수요일 | 글_정시우 기자(무비스트)     




-결혼이 고민인 당시, 고민했던 당신, 고민 할 당신.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장관님들 꼭 보셔요!
-이것이 현실이라니! 불편한 진실들
1 )
ukkim47
극장에서 볼수 있을지...   
2012-02-09 13:08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