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렬한 화염 속에서도 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힘을 저에게 주소서!” 2001 홍제동 화재 참사 사건 실화 영화화
2001년 3월 4일 새벽 3시 47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다세대 주택에서 방화로 인해 발생한 ‘홍제동 화재 참사 사건’은 당시 서울 서부소방서에 근무 중이던 소방관 6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3명이 큰 부상을 입은 대형 참사였다. 이 사건을 시작으로 소방관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처우가 알려진 바 있으며 오늘날 화마에 휩싸였던 곳을 중심으로 약 382m가량 되는 구간이 소방영웅길로 지정되어 국가적으로 이들의 희생을 추모하고 있다.
영화 <소방관>은 이처럼 안타까운 사건을 소재로, 영화적 상상력을 더해 재구성한 작품. 사람을 살리기 위해 기꺼이 몸을 던진 소방관들의 용기와 희생의 이름을 스크린 위로 불러 모은다. 영화 <소방관>은 2001년 홍제동 화재 참사 사건 당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화재 진압과 전원 구조라는 단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투입된 소방관들의 상황을 그린 이야기. 전 세계에 수십 년간 통용되는 어느 소방관의 기도문의 한 구절처럼 ‘강렬한 화염 속에서도 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지닌 이들’이 바로 소방관이란 사실을 스크린 위에 그려낼 예정이다.
곽경택 감독은 홍제동 사건 생존자를 작품 촬영에 앞서 만났다. “생존자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듣고 구체적인 사건을 그리기보다는 이들 이분들의 정서를 영화에 녹여보자고 생각했다.”며 당시의 마음가짐을 전했다.
홍제동 참사 사건이 발생한 지 20여 년이 지난 최근에도 소방관들의 근무 환경이나 처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온-오프라인에서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영화 <소방관>에는 이분들께 일말의 도움이 될 수 있는 작품으로 관객들에게 사랑받기를 바라는 감독 및 제작진의 염원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올겨울 꼭 기억해야 할 이름들을 <소방관>에서 만날 차례다.
소방관들의 땀과 눈물, 그리고 희생 대한민국 명품 배우들의 연기로 완성되다!
영화 <소방관>을 위해 대한민국 명품 배우들이 뭉쳤다. 무엇보다 팀워크가 중요한 영화이기에 소방대원들 한 명, 한 명의 사연을 조명하는 곽경택 감독의 연출은 <소방관>의 중요한 관전 포인트다. 주원부터 곽도원, 유재명, 이유영, 김민재, 오대환, 이준혁, 장영남까지 <소방관>의 주역들은 실전과도 같은 영화 현장을 소화해 냈다.
먼저 서부소방서에 첫 발령 받은 신입 소방관 철웅 역은 주원이 맡았다. 주원은 생사가 오가는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아 나가는 사회 초년생의 패기와 불안을 디테일하게 그려냈다. 주원은 “시나리오를 읽기 전까지 몰랐던 사건이었고, 읽으면서 ‘내가 왜 이 일을 몰랐을까?’ 생각하며 숙연해지는 시간이었다”고 출연 배경을 전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남다른 직감과 다수의 현장 경험을 통해 5년 연속 구조대상자 구출 횟수 전국 1등을 기록한 구조반장 진섭 역은 곽도원이 맡았다. <강철비>, <남산의 부장들> 등에서 보여준 강렬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소방관>에서는 팀을 아우르는 따뜻한 리더십을 보여줄 예정이다. 서부소방서 구조대장 인기 역은 스크린, OTT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믿고 보는 배우 유재명이 활약한다. 그는 팀원들에게 값비싼 장비는 지원할 수 없지만 구조대장으로서 최선의 노력으로 구조대를 이끌어 나가는 인물이다. 유재명은 “<소방관> 촬영 후 화재 사건 등 안타까운 뉴스를 접할 때마다 애도의 마음을 가지게 된다. 실제로 이분들이 얼마나 열악한 현장에서 최선을 다하는지 알게 됐다”고 전했다.
소방대원들에게도 지지 않는 체력과 당찬 성격을 지닌 구급대원 서희 역할로 이유영이 스크린에 컴백한다. 현장 사고로 인한 트라우마로 힘든 시간을 겪는 철웅에게 따뜻한 위로를 건네는 서희는 <소방관>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한 줄기 빛 같은 청량함을 제공한다. 어떠한 현장도 사리지 않고 늘 선두에 서는 소방관 용재 역할은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형사 역할과 최근 예능에서도 활발한 활약을 펼치고 있는 김민재가 맡았다. 김민재는 “실제 사건인 만큼 영화 현장에서도 이분들께 누가 되지 않도록 집중하는 분위기였다. 최대한 리얼리티를 살리려 노력했다”며 촬영 과정을 전했다. 목숨이 위험했던 화재 현장에서 당한 부상도 가볍게 넘길 정도로 강한 정신력을 지닌 소방관 효종 역할은 오대환이 맡았다. 그는 <베테랑> 시리즈 등에서 보여준 다부진 액션 연기만큼이나 <소방관>에서도 믿음직한 연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오대환은 “영화 촬영 전에는 소방관들의 수고와 노고를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면, 촬영 후에는 일상에서 그분들과 마주칠 때 고마움을 담아 인사를 건넬 만큼 마음이 가까워졌다”고 밝혔다. 오대환이 맡은 효종의 동생 효민과 곧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이자 업무에 있어서 누구보다 엄격한 외강내유 소방관 기철 역은 이준혁이 맡아 열연했다. 그는 “예전에 드라마 [맨몸의 소방관]이라는 작품을 한 적이 있는데 다시 소방관 역할을 제안받아 놀랐다. 살면서 두 번 이 직업을 연기하는 것도 인연이라 생각해 흔쾌히 출연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범죄도시3> 이후 돌아온 이준혁은 진정성 있는 연기로 감동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끝으로 흥행 영화에 자주 찾아볼 수 있는 이름 장영남이 진섭의 아내 도순 역할로 등장한다. <극비수사>, <친구2>까지 곽경택 감독과 인연이 깊은 장영남은 매일 생사의 현장에 남편을 보내야 하는 아내의 마음을 절절하게 연기하며 진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탄탄한 연기력으로 구성된 <소방관> 배우들은 실제 사건을 겸허히 다루며 연기해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진정성 있는 연출의 대가 곽경택 감독 한방의 눈물 있는 실화 사건으로 스크린 연출 컴백
2001년 대한민국에 ‘친구 신드롬’을 일으킨 곽경택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를 다룬 작품 <친구>, 1978년 부산에서 실제 일어난 유괴 사건을 다룬 <극비수사>, 인천상륙작전의 양동작전인 장사상륙작전에 참전한 인물들을 다룬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 등 곽경택 감독은 리얼리티를 기반으로 한 작품에서 큰 호응을 얻어왔다. 영화 <소방관>은 그의 장기를 살려 2001년 홍제동 화재 참사 사건과 관련된 서울 서부소방서 대원들의 이야기를 진지한 디테일로 그려냈다.
곽경택 감독이 이처럼 실화 사건을 영화화하는 데 주목하는 이유는 흥미로운 소재뿐만 아니라 사건의 중심에 선 인물들에게 있다. <친구>의 준석(유오성)과 동수(장동건), <극비수사>의 형사 공길용(김윤석)과 도사 김중산(유해진),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의 이명준 대위(김명민)와 이들을 따르는 학도병들까지 곽경택 감독의 시선에는 언제나 매운맛의 사건보다 그 사건의 중심에 있는 인물들의 진정성이 주로 자리해 왔다. <소방관> 역시 최악의 참사 사건을 다루는 데 앞서 서부소방서 대원들의 사연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관객들이 당시 상황에 최대한 몰입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런 연출 방식에 대해 곽경택 감독은 “배우들이 실화 사건을 그리는데 도구로 쓰이게 하고 싶지 않았다. 배우들이 영화에 출연해야 된다는 강력한 동기 부여와 기존의 ‘소방관’을 다룬 영화들과는 차별점을 주고 싶었다”며 캐릭터 한 명, 한 명에 생명을 불어넣은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영화에 참여한 배우들은 곽경택 감독이기에 <소방관>을 선택할 수 있었다고 입을 모아 밝혔다. 주원은 “우리 세대라면 대부분이 곽경택 감독의 팬이었을 거다. 나 역시 그랬고 <소방관> 시나리오도 좋았지만, 곽경택 감독 연출이라는 사실에 고민 없이 선택할 수 있었다. 현장에서 감독님이 배우들에게 디렉션을 워낙 디테일하게 주셔서 연기하기 편안한 현장이었다”고 전했다. 이준혁은 “곽경택 감독은 영화 <소방관>과 비슷한 결의 분이었다. 카리스마가 있으면서도 따뜻한 영화 색깔과 비슷했다”고 전했다.
현장에 참여한 스탭, 배우들 모두 입을 모아 곽경택 감독의 특기가 살아났다고 말한 영화 <소방관>은 실화의 진정성과 인물들의 매력을 가득 품고 12월 4일(수) 개봉한다.
실제 화재 진압 훈련 소화&CG 최소화한 화재 현장 촬영 리얼리티에 도전한 제작진의 노력
영화 <소방관> 현장은 그야말로 ‘뜨거운’ 현장이었다. 불을 다루는 영화이기에 카메라 안팎으로 불을 지피고 끄기를 반복했다. 언제 어디서든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에 제작진과 배우들은 언제나 긴장 상태에서 촬영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소방관> 출연진은 본격 촬영에 앞서 몇 주간 소방 교육을 수료하기도 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자연스레 ‘소방관’의 직업 정신도 발휘될 수 있었다.
소방관 정신으로 촬영된 장면은 실제 화재 현장을 방불케 하는 씬으로 탄생했다. 배우들이 산소마스크를 착용하고 불 속으로 들어가면, 촬영팀은 마치 다큐멘터리 탐사팀처럼 연기 속에서 이들을 쫓았다. 위로 솟구치는 불길 때문에 자연스레 몸은 땅바닥에 붙을 수밖에 없었다. 실제 소방관들 역시 화재 현장에서 몸이 너무 뜨거워 저절로 기어다닌다는 이야기처럼 영화 <소방관>도 이러한 아비규환의 분위기를 완벽하게 재현했다. 몸을 던진 희생정신이 살아난 장면도 탄생했는데, 이준혁은 스턴트 없이 등에 불을 붙인 연기를 선보여 현장에서 박수를 받기도 했다.
화재 현장 촬영뿐만 아니라 2001년 시대상을 반영하기 위해 촬영 장소 헌팅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제작진은 전국 방방곡곡을 찾아다닌 끝에 재개발 구역으로 선정되어 오랜 시간 비어 있었던 동네를 발견했다. 이곳을 야외 세트로 활용하게 된 <소방관> 제작진은 2001년의 모습을 살리기 위해 자동차, 집, 전봇대 등 소품의 디테일 하나하나에 공을 들였다. 더불어 화재 현장을 재현하기 위해서 야외 현장과 동일한 실내 세트를 추가로 제작했다. 이처럼 실화 사건을 대하는 배우, 감독, 제작진의 겸허한 자세는 일선에서 불철주야 고생 중인 소방관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고 있다. 덕분에 실제 화재 현장을 방불케 하는 장면들이 탄생할 수 있었다. | |
|
|
|